이 대통령은 이날 제393차 ‘민방위 날’을 맞아 행정안전부 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 원자력발전소 안전사고 등에 대비한 훈련상황을 보고받고 이 같이 밝혔다.
아랍에미리트(UAE) 공식방문을 마치고 오후 1시쯤 귀국한 이 대통령은 서울공항에서 맹형규 행안부 장관과 임태희 대통령실장,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으로부터 일본 대지진에 따른 원전 폭발 및 국내 영향 전망 등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오후 2시쯤 청와대에서 민방위복으로 갈아입고 대책본부로 향했다.
이 대통령은 월성원전 관계자와의 통화에서 “직원이나 주민이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평소 훈련을 생활화해야 한다”며 “우리 원전이 안전함을 국민에게 이해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강기창 강원지사 권한대행과의 화상통화에선 현지에서 진행된 지진해일 대비 훈련상황을 점검한 뒤, “훈련을 반복해 주민들에게 생활화되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비상시 주민대피와 비상차로 확보 등을 목표로 민방위훈련을 실시했으며, 전국에서 군 177대와 경찰 220대, 소방 390대, 구급차 108대, 기타 177대 등 1072대의 차량과 경찰 2만명, 군 2000명, 소방대원 2000명이 동원됐다.
특히 일본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충격이 미칠 우려가 있는 강원과 경북, 울산 등 동남해안 12개 시·군에서는 지진해일 대비 훈련이 실시됐고, 서울 광화문과 종로에선 군 화생방 정찰차와 제독차, 지휘 지프형 차량, 구급차, 소방차 등이 비상차로를 이용한 합동 기동훈련을 했다.
한남대교에선 제독차와 살수차 등이 투입돼 방사능 낙진에 대비한 제독훈련이 실시됐다.
아울러 북한의 장사정포 공격 및 공습상황을 가정, 지하철과 지하보도, 지하주차장 등 주변 시설로 시민들이 실제 대피하는 훈련도 함께 이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