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파이낸셜 타임즈(FT) 중문판은 세계 조선업이 바닥을 벗어나지 못 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거대 조선소들도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양적으로 승부를 벌여오던 중국은 수주량에서도 한국에 밀렸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 2월 중국 조선사들의 수주량은 16만1903CGT(표준화물환산톤수)로 같은 기간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량 126만8140CGT에 크게 뒤졌다.
수주잔량에 있어서도 한국과의 격차가 많이 줄었다.
3월 현재 한국의 수주잔량 점유율은 32.3%로 지난달보다 0.4%포인트 증가한 반면, 중국은 38.1%로 0.3%포인트 감소했다.
게다가 중국 조선업체들의 이익률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저가에 수주한데 비해 요즘 철강재 가격과 인건비가 급등해 원가 압박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금을 비롯한 정부의 조선산업 육성책이 시들해진것도 중국 조선산업에 우려를 더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조선업이 철강 해양프로젝트 등 연관 산업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는 계산에 따라 지난 2009년부터 자금대출 등 정책지원을 강화해왔다.
금융위기 당시 중국은 선박금융을 조성해 글로벌 선사들에게 선박주문을 하도록 했고, 심지어 정부가 나서서 발주사들의 신용보증을 서 주기도 했다. 이에따라 2011년 중국 조선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10%로 높아졌다.
하지만 최근 과열에 대응, 정부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선회하면서 정부의 직간접 자금 지원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돼, 중국 조선산업도 유동성 위기를 겪을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와관련, 클락슨 상하이 지사 책임자인 조우지량(周济亮)는 "2~3년 내에 100여개의 중소 조선소들이 문을 닫는다고 해도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석제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조선업은 모래 위에 지어진 성과 같다"며 "잔량이 유지되면 문제 없지만 주문이 끊기면 보유 자금도 말라버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업계 안팎에서는 이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차제에 해양플랜트와 보다 높은 수준의 고부가 LNG 선박 건조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