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한국 원전 안전불감증, 일본과 유사수준”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국회 지식경제위원장인 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20일 “한국 원자력 발전의 안전불감증이 일본과 유사한 수준으로 심각하다”며 “정부는 원전 르네상스를 말하기 전에 안전성부터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논평을 통해“‘국내 원전은 안전하다며 원전 건설을 확대 추진하는 것을 보며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원전을 짓지 않을 수 없는 조건은 인정하더라도, 원전기술은 아직 불안정하며 핵폐기물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상황에서 원자력을 확대하는 것은 대단히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내 원전의 문제점으로 △냉각수 유출 및 세관 부식 사고, △수소 누설사고, △부실시공 등을 지적했다.
 
 그는 “1998년 울진 1호기 냉각수 누설의 위험을 강력히 지적했음에도 정부는 ‘문제없다’는 답변만 되풀이 했다”며 “하지만 결국 그해 12월 발전을 정지하고 핵연료 교체 및 보수에 들어갔다”고 안전불감성을 재차 경고했으며, “(1999년 당시) 정부는 수소누출로 폭발가능성이 제기된 울진 2호기에서 누출량 측정을 비닐봉지로 할 정도로 안전사고에 둔감했었다”고 소개했다.
 
 또 부실시공과 관련해선 “설계에 없는 용접 부위가 1989년 울진원전 1호기에서 1곳, 1994년 영광 3호기에서 43곳, 4호기에서 6곳이 발견됐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전무후무한 일”이라며 “최근 조사 결과 원전 반경 50km 내에 1978년부터 총 123회 지진이 발생했다”며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우려했다.
 
 그는 “노후원전 수명 연장은 정확한 진단과 검토를 거쳐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며 “시급히 폐로 기술과 고준위 폐기물 처리에 대한 정책과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