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어젯밤(21일 밤) 대통령에게 편지가 전달됐다”며 정 위원장의 서한 발송 사실을 시인했다.
청와대는 오전까지만 해도 정 위원장 서한에 대한 사실 확인 요구에 “청와대는 더 이상 이 문제(정 위원장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정 위원장의 서한이 “사표는 확실히 아니다”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못했다. “대통령에게 개인적으로 전달됐기 때문에 내용을 알 수가 없다”는 설명이었다.
뿐만 아니다. 김 대변인은 “동반성장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은 정 위원장이 흔들림 없이 계속해서 해 나가는 게 좋겠다는 것이고, 그런 뜻이 정 위원장에게도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지만, 지난 19일 정 위원장의 ‘사퇴 검토’ 발언 이후 청와대와 당, 정부, 그리고 정 위원장 측 간의 ‘메신저’ 역할을 누가 했는지에 대해선 입을 닫았다.
특히 ‘청와대의 입장이 대통령의 뜻이냐’는 물음엔 “대통령실은 대통령과 뜻을 같이한다”면서도 정 위원장 사퇴 논란의 ‘시발점’인 초과이익공유제에 관한 물음엔 “그 부분은 입장 변화가 없다”고 종전과 같은 답변을 내놨다.
반면 여권 안팎에선 “정 위원장 문제가 정리되려면 초과이익공유제 도입과 관련해 청와대가 확실한 입장을 내놔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미 이 문제는 정책이 아닌 정치적 사안이 돼버렸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날 공식 브리핑 내용을 종합하면 ‘대통령이 정 위원장에 대한 신임을 재확인한 만큼 더 이상 문제가 될 게 없다’는 것으로 그동안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편지 내용은 모르나 사표는 아니다’는 해명 때문에 "오히려 청와대가 정 위원장 서한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의혹만 더 키웠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대해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우리가 정 위원장이 그만 두길 바라겠냐”며 "그가 열심히 일하길 바란다는 입장엔 변함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