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언론인클럽과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공동 주최한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대학타운의 성과와 발전방향’토론회가 지난 22일 오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허인환 인천시의원은 토론회에서 “국내 대학들에 대해선 형평성 없는 부지 제공으로 특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며 연세대와 가천의대의 부지계약 특혜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허 의원에 따르면, 시는 송도 글로벌캠퍼스 내에 분교 등을 세워 입주하려는 외국 대학들에게 학교부지로 29만7000㎡를 제공하고 캠퍼스 조성비 1조700억 원 중 국비 50%와 시비 25%를 지원한다. 또한 학교부지 9만평 중 약 2만8000평을 수익부지로 제공해 그 개발이익으로 캠퍼스 조성비의 50%를 분담하게 했다.
그는“게다가 외국대학 입주계약이 체결되면 100만달러를 지원하고, 그후 5년간 매년 같은 액수의금액을 운영비로 지불하게 했다”며 “이는 누가 봐도 이중 삼중의 특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캠퍼스 전체 사업비 1조700억 원 중 절반을 차지하는 민간 분야의 투자금이 전혀 확보되지 않았을 정도로 민간 분야 투자금을 확보하는 노력이 없다"고 비판했다.
허 의원은 “해외 대학 및 국내 유수 대학을 송도에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외 대학간 형평성 있는 지원과 함께 송도국제도시에 내실 있고 질 높은 대학을 선별해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인천경실련 김송원 사무처장은 “지난 2008년 송도국제도시 내 캠퍼스타운 조성 관련 토론회에서도 부지 제공 특혜논란이 제기됐었다”고 운을 뗀 뒤“그래도 학교에 부여된 인센티브에 따라 지역에 많은 기여가 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류제홍 경기일보 부장은 “송도국제도시 발전에 필요한 수준 높은 교육시설이라면 국제수준에 걸맞는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유치계획을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면서 “송도 입주교육시설들이 지역사회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착근할 수 있는 공헌개발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