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도 6.5이상 강진 가능성 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23 15: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한반도가 지질학적 위치 및 구조상 일본ㆍ중국 등 이웃나라보다 강진 가능성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규모 6.5 이상 지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23일 서울 테헤란로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 주제 포럼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지진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다”며 “그러나 7.0 이상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 박사는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있고 한반도 좌우의 이 두 지역은 매우 취약한 지질구조로 이번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강진이 빈발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약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일본 열도의 지각에서 지진 등의 형태로 먼저 에너지가 분출되면서, 한반도는 힘을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축적될 여지가 적고 강진 가능성이 작아진다고 전했다. .

아울러 지 박사는 과거 일본 및 중국 강진시,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은 추가령ㆍ옥천ㆍ양산 단층 부근이 지목됐다.

토론자인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일본 혼슈ㆍ홋카이도 서북연안에 대규모 역단층 있어 7.0이상 지진이 수년, 수십년에 한 번씩 발생한다”며 “이 단층에서는 8.0~9.0 이상 지진도 가능한 만큼 우리나라 원전 설계시 예상 쓰나미 높이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무환 포항공대 첨단원자력 공학부 교수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기가 들어가야 움직이는 시스템(액티브 시스템)의 문제, 원자로 데이터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의 대처방법, 원자로 수소 제어의 중요성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양희 한국지진공학회장(인천대 교수)은 후쿠시마 원전 설계시 고려한 강도가 0.4g(지반가속도)인데 비해 실제로 받은 힘은 5배가 넘고, 실제 쓰나미 높이도 설계높이의 3배에 달한 사실을 강조했다.

조 회장은 “우리나라 원전도 설계기준 사고만 가정하고 안전하다고 만족하지 말고, 이번 일본 지진을 계기로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