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의 "캡티브 시장과 고객만족 둘 다 잡을 것"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최기의 KB국민카드 사장(사진)은 23일 "현재 KB국민카드는 타사에 비해 캡티브 시장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강화하는 한편 고객만족을 위해서도 분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사장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카드시장이 포화라고는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사업이 분명히 있다"며 "특히 금융그룹으로서 대출 서비스 등 선택적인 아이템을 찾아 1등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KB국민카드가 분사와 동시에 선보인 '금융세이브 제도'를 대출 서비스에서의 캡티브 시장을 위한 상품으로 꼽았다.
 
금융세이브 서비스는 자동차나 가전제품을 구매할 때 선포인트를 받아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처럼 대출상품에 대해 선할인 혜택을 주는 것이다. 1억원 이상 대출 시 최고 50만원의 선포인트를 제공한다.
 
최 사장은 "일부에선 금융세이브 제도를 두고 '꺾기 아니냐' 혹은 '과당경쟁 가져오는 것 아니냐'등의 부정적인 시각이 있기도 하지만 그런 일이 없도록 적절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신 그는 "50만원 선할인받으려고 3억~4억원씩 되는 집을 사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집을 장만하려고 대출을 받다 보면 최고 50만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가계 부담을 낮춰주는 데 금융세이브 제도의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선보인 '포인트 자동 환급 서비스'의 경우 고객들이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를 자동적으로 계좌에 환급해줌으로써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 사장은 아울러 고객만족을 높이기 위해 현재 경직된 조직 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도 했다. 불과 3주전만 하더라도 은행계 카드사로서 딱딱한 문화가 남아있는 탓에 이를 전업카드사의 유연한 분위기로 변화하는 게 관건이기 때문이다.

KB국민카드는 이를 위해 우선 직원들의 옷차림을 자유롭게 하고 리프레쉬 휴가 사용을 적극 권장하는 등 유연한 근무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최 사장은 "이 같은 조직 문화의 변화 속에서 시너지를 얻게 되면 고객서비스와 실적 향상은 저절로 뒤따라 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올해는 KB국민카드가 분사하면서 창업과 전산투자 비용이 들어 작년보다 수익이 조금 줄겠지만, 내년에는 다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KB국민카드는 최근 수년간 매년 4000~5000억원의 수익을 냈다.

한편, kb국민카드는 오는 28일부터 일반 가맹점은 1.7%로 영세 가맹점은 1.0%로 각각 체크카드 수수수료율을 낮추며 내달 초 아파트 관리비를 10% 할인해주는 새 카드를 또 출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