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아이들 시력검사는 언제부터 하는 것이 좋을까요?
A: 생후 6개월이 되면 보통 0.1정도의 시력을 갖게 되며 만 8세정도 되면 성인과 같은 시력을 갖게 된다. 이때 시력이 제대로 발달할 수 있도록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빨리 조치를 취해야 한다.
만일 아이가 눈을 자주 비비거나 잘 찡그리고 사물이 2개로 보인다고 하면 시력 저하를 의심해야 한다. 또 어디를 바라보는지 초점이 명확하지 않거나 어딘가를 주시할 때 눈이 파르르 떨릴 때에도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첫 시력검사는 3세 이전에 받는 것이 좋으며 7세가 되면 약시와 사시 검사를 꼭 받아야 한다. 약시는 말 그대로 시력이 약한 것인데 안구자체에는 이상이 없지만 시력장애가 있고 안경을 써도 시력이 교정되지 않는 경우이므로 조기에 발견해야 치료가 가능하다.
안경을 끼는 아이가 성장해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1년에 2회 정도 시력검사가 필요하다. 성장기에는 안구 축이 바뀌면서 시력이 자주 변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시력검사가 필수적이다.
Q: 게임에 빠진 아이, 시력관리는?
A: 게임기나 TV, 컴퓨터를 볼 때는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평소보다 감소한다. 때문에 안구가 건조해져 쉽게 피로해 지고 안구건조증이 지속되면 시력저하로 이어진다. 모니터를 볼 때에는 의식적으로라도 눈을 자주 깜빡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게임기나 TV, 컴퓨터를 못 보게 할 수 없다면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하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TV나 모니터를 볼 때는 방 안을 환하게 밝히고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보는 것이 좋다. 전체조명이 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희미한 조명 아래서 눈을 사용하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화면을 올려다 보지 않도록 의자에 앉아서 화면을 정면으로 보는 것이 좋고, 1 시간에 10 분 정도는 눈을 쉬게 해야 한다. 눈을 쉬어 줄 때는 먼 풍경을 응시하거나 눈동자를 굴리는 안구운동을 해주면 좋다.
Q: 아이 눈 건강을 지키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아이의 눈 건강을 지키려면 함께 야외 활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야외활동 시 도파민이 활발히 분비돼 근시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초록색을 보면서 멀리 보는 연습이 되는 등산 같은 운동도 좋다.
편안한 수면도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 잠을 자면서 몸의 피로와 함께 눈의 피로도 해소되므로 편안하게 잘 자게 하는 것이 좋다. 충분히 짜고 잠을 잘 때는 되도록 조명을 켜지 않도록 한다.
눈에 좋은 음식으로 식단을 바꾸는 것도 좋다. 당근, 시금치 같은 녹황색 채소와 우유, 콩, 달걀노른자 같은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 도움이 된다.
Q: 잘못 알려진 시력에 대한 건강 상식은 무엇이 있나요?
A: 잘못 알려진 상식 중 하나가 ‘나쁜 시력은 유전된다’는 것이다. 유전적인 요인은 5% 미만으로 부모가 고도근시라고 자녀가 반드시 고도근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안경을 바꾸면 눈이 더 나빠진다’며 낮은 도수의 안경을 계속 쓰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근시가 진행됐기 때문이지 안경 때문이 아니다.
‘눈이 피곤할 때 식염수를 넣는 것이 좋다’는 속설도 주의해야 한다. 오염되기 쉬운 식염수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오래되지 않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1회용으로 포장된 인공누액을 쓰는 것이 좋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