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한국 언론에서는 “일 원전 악화일로 대폭발 참사 우려”란 보도를 최근 내보냈다. 냉각 문제가 발생한 발전기에서 몇 차례에 걸쳐 화재, 외부 구조물 폭발 등이 발생함에 따라 이같은 심각한 우려는 더 고조되는 듯 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원전이 원폭처럼 실제 폭발할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한다. 가장 최악의 상황이 노심용해(또는 원자로 용해, 영어로 meltdown)다. 원자로의 냉각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내부 열이 상승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결국 봉인되어 있던 보호용기가 녹아내리기 시작해 최악의 경우 원자로 붕괴, 외벽 와해, 방사능 대규모 대기방출이 발생됨을 말한다.
물론 노심용해가 인류와 자연에 엄청난 파괴를 주지만 “대폭발”의 의미와 피해 정도는 전혀 다른다. '원전 대폭발’이 주는 이미지는 누가 봐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이 폭발하며 나타나는 버섯구름과 강렬한 빛, 열 그리고 방사능이 인근의 자연과 구조물을 남김없이 파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원전이 녹아 내려 방사능이 방출되는 노심용해와는 전혀 다르다. 둘 다 인류와 자연에 엄청난 피해를 주지만, ‘대폭발’의 공포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은 가뜩이나 심각한 현상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원폭과 원전은 같은 원리의 기술을 사용하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기술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유는 사용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원료가 되는 우라늄부터 시작해 여러가지 기술이 서로 다른 점이 많다. 또한 원전은 안전을 위한 각종 장치가 많다. 한가지가 제어봉(control rod)이다. 제어봉은 붕소(boron)으로 만들어졌으며 위기시에 중성자를 모두 흡수해 핵반응을 중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봉 관리 실패로 발생한 사고가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태(1986년)다. 이 사고 때 나타났던 섬광은 수증기 폭발 때문이었지 원폭과는 전혀 달랐다.
노심용해는 체르노빌과 그 앞서 미국의 쓰리 마일 아일랜드 발전소(1979년)에서도 나타났다. 내부 열이 식지 못해 원자로나 녹아 내린 것이다. 현재 일본 원전도 최악의 경우 노심용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노심용해만도 인류와 자연에 대단한 재앙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핵발전소의 문제 발생 위험도에 따라 7개 등급으로 나누었는데, 지금 일본은 6 등급에 이미 올라와 있다. 가장 높은 7등급은 체르노빌 사고가 차지했으며, 한 등급 차이인 현 일본 원전의 피해와 심각도보다 무려 10배나 더한 결과를 낳았다.
지금 일본 정부와 전세계가 할 일은 일본 원전의 노심용해를 막아 방사능이 대기에 대량 방출되는 것을 막는 일이다. ‘대폭발’이란 말로 심리적 공황을 확산시키는 일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주경제 송지영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