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차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물가안정대책회의'에서 "일본 지진으로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국제유가와 밀 등 원자재 가격이 중동 정정불안, 일본 수요 증가와 맞물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임 차관은 "이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물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농축수산물은 이상한파와 구제역 등 부정적 요소가 사라지면서 4월부터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임 차관은 "농산물은 봄작물이 출하하고 축산물의 경우, 구제역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낮춰지는 등 불안요소가 가라앉았다"며 "지난 23일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을 방문해 상인들의 의견을 들어본 결과, 배추 도매가격이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4월에는 봄배추가 본격적으로 출하하면서 가격은 평년 수준을 되찾을 것"이라며 "명태의 경우 필요량을 미리 확보해놨고 오징어도 어획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본에서 전량을 수입하는 생태의 경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일본 원전 사고로 방사능 유출이 야기되면서 오히려 수요 자체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현상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국내외 가격차가 큰 품목을 중심으로 리스트를 만들고 원인을 분석하는 등 가격차를 줄이는데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소비자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필품은 분기별로, 공산품은 반기별로 점검하겠다"며 "국내 가격이 해외가격보다 더 비싼 유모차와 아동복은 지난 1월부터 할당관세를 적용해 들여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원비를 공개하고 영수증 발급을 의무화하는 등 사교육비 안정화 의지도 내비쳤다.
임 차관은 "학원법 개정안을 통해 학원간 가격경쟁을 촉진, 투명성을 제고하겠다"며 "유치원도 정보공개를 통해 학부모의 선택권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이어 "보육료도 시·도지사가 상한선을 정하도록 했고 특히 학부모가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특별활동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외식비와 이·미용료 등 개인서비스 물가도 잡겠다는 의지다.
임 차관은 "관계부처가 수도권뿐만 아니라 충남, 영남, 호남과 간담회를 갖고 외식비와 이·미용료 잡기에 나섰다"며 "개인서비스가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에 달하는 만큼 적극적으로 안정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