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황-전세] 서울 강북권 상승세 지속… 나머지 지역은 상승폭 둔화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서울 강북지역의 전세 물량 부족으로 인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강남권을 비롯한 포함한 나머지 수도권지역은 매수세가 줄며 상승폭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3월 넷째 주 서울지역 전셋값은 전주보다 0.15% 올랐다. 신도시(0.10%)와 경기(0.11%)는 상승했지만 상승폭은 모두 전 주보다 둔화됐다.

서울은 도봉(0.58%) 동대문(0.47%) 강서(0.46%) 영등포(0.43%) 관악(0.31%) 순으로 올랐다. 반면 양천구(-0.12%)는 32주 만에 하락세를 나타냈다.

도봉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서인지 신혼부부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다만 3월 중순이 지나면서 매수세는 조금씩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봉동 삼환 95㎡는 1억2000만~1억4000만원 선으로 1000만원 올랐다.

동대문구 역시 대기 수요에 비해 나오는 전세 물건이 적어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휘경주공아파트 전셋값이 오르면서 상승세를 견인했다. 휘경동 휘경주공 82㎡는 1000만원 오른 1억6000만~1억8000만원 선이다.

경기도는 오산(0.84%) 고양(0.47%) 파주(0.35%) 안산(0.24%) 용인(0.22%) 부천(0.21%)순으로 올랐도 나머지 지역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파주시는 물량에 여유를 보이는 매매와 달리 전세는 물건이 부족한 상태다. 최근 중소형 전세 물건이 소진된 이후 상승세가 중대형까지 옮겨진 모습이다. 교하읍 벽산∙한라아파트 158㎡는 1억3000만~1억7000만원 선으로 5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평촌(0.28%) 일산(0.20%) 순으로 상승했고 분당과 산본은 보합을 나타냈다. 평촌신도시는 전셋값이 비교적 저렴한데다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 전세 수요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호계동 무궁화태영 92㎡는 1000만원 오른 1억6000만~1억7000만원 선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