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월 4.5%를 기록, 2년 만에 최고치에 달했던 소비자물가는 5%까지 오르면서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고위 관계자는 “4월 초 발표하는 이번달 소비자물가는 5%까지 오를 것”이라며 “이에 따라 물가 안정을 위한 고강도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물가 전망을 발표하는 통계청도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까지 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즉 '2011년 3월 전년 동월비= 2010년 2월 전년 동월비+2011년 3월 전월비-2010년 3월 전월비'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지난달 전년 동월비 4.5%와 지난해 3월 전월비 0.3%을 적용하면 당장 3월 전월비 수치가 나오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4.2% 이상의 수치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최근 5년간, 10년간 3월 전월비 평균 상승폭이 각각 0.5%, 0.7%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소 4.7%에서 최대 4.9%까지 나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구체적인 수치가 아직 나온 것은 아니지만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적어도 최근 5년간, 10년간 3월 전월비 평균 상승폭을 보면 4%대 후반에서 많게는 5%까지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동정세 불안으로 최근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물가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특히 우리나라 물가는 해외의존도가 높아 대외 충격이 발생할 경우 더 쉽게 요동칠 수 있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25일 물가안정대책회의를 열고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다시 확대되고 있다"며 "일본 지진으로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국제유가와 밀 등 원자재 가격이 중동 정정불안, 일본 수요 증가와 맞물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