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후 술집·식당 공기오염 집보다 최고 5배 높아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퇴근 이후 주로 이용하는 식당·술집 등의 공기오염이 집보다 최고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9일 발표한 ‘국민 일일 시간활동 양상에 따른 개인노출평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퇴근 이후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실내 공기오염 노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후 6시~오후 11시에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PM2.5),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포름알데히드(HCHO)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식당, 술집, 카페, 당구장, PC방, 노래방 실내의 공기 중 PM2.5 농도는 평균 363.0㎍/㎥, 벤젠은 8.8㎍/㎥, HCHO는 76.8㎍/㎥로 주택실내에 비해 각각 약 5배, 2배, 1.5배 높게 나타났다.

술집 등 실내에서의 PM2.5농도(363.0㎍/㎥)의 경우 실외의 44.8㎍/㎥보다 약 8배 높아 환기, 금연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소환경의 오염도와 활동시간을 적용한 결과 퇴근 후 기타실내에서 활동 후 귀가하는 사무직 근로자는 직장실내 농도가 전체 노출량의 33.1%를 기여했지만 기타실내 농도는 25.9%로 약 1시간 이하의 짧은 체류시간에 비해 매우 높았다.

벤젠의 개인노출 농도는 기타실내에서 활동 후 귀가하는 근로자 3.64㎍/㎥, 전업주부 3.34㎍/㎥, 퇴근 후 바로 귀가하는 사무직 근로자 3.20㎍/㎥, 대학생 3.11㎍/㎥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연구에선 우리나라 사람들을 시·공간적으로 활동이 유사한 집단(이하, 유사 시간활동 그룹)으로 분류해 2004년 통계청의 전국 만 10세 이상 3만1634명(평일 1만9025명, 주말 1만2609명)에 대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한편, 동영상 자료를 제작해 ‘환경보건포탈(http://nceh.nier.go.kr)’사이트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