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국 12개 측정소, 방사성 요오드 검출

(아주경제 이가영 기자)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의 여파로 서울 등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도 요오드와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그러나 이는 매우 극미량으로 연간 방사선량 한도의 20만~3만분의 1에 불과하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게 정부 당국의 설명이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아전기술원장은 29일 브리핑에서 "28일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공기를 채취, 분석한 결과 모든 측정소에서 극미량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윤 원장은 "지금 들어오는 방사성 물질은 극미량으로, 인체 위험 가능성까지 연결하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이다"라며 "국민들 생활에 조금의 변화도 없을 양"이라고 강조했다.

기술원에 따르면 검출된 방사성 요오드(131)의 농도는 최소 0.049 mBq/㎥에서 최대 0.356 mBq/㎥ 수준이었다. 이를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4.72x10-6∼3.43x10-5mSv 범위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인 1mSv의 약 20만∼3만분의 1 정도다.

특히 춘천측정소에서는 세슘-137(137Cs)과 세슘-134(134Cs)도 각각 0.018 mBq/㎥, 0.015 mBq/㎥ 확인됐다. 두 원소를 더해 피폭방사선량을 계산하면 1.21x10-5mSv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1mSv)의 약 8만분의 1 수준이다.

방사성 제논(Xe)의 경우, 지난 26일 채취한 시료에서 최대치(0.878 Bq/㎥)를 기록한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0.464Bq/㎥, 0.395Bq/㎥ 등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기술원은 이 요오드와 세슘 역시 앞서 발견된 제논과 마찬가지로 캄차카반도와 북극, 시베리아를 거쳐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