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지난 1일 신공항 건설사업 ‘백지화’ 결정에 대해 사과 입장을 밝히며 국민의 이해를 구했지만, 당장 여권의 최대 지지기반인 영남권의 동요가 심상치 않다.
이에 청와대는 다각적인 민심 수습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내놓을 수 있는 근본대책이 별로 없다”는 점에서 사실상 ‘한계’에 부딪힌 모습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보완책’으로 “주민들의 국제공항 수요 충족을 위해 기존 대구공항과 김해공항의 국제선 운항 편수를 늘리는 방안 등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항공업계에선 “지금도 수요가 없어 운항을 최소화하고 있는 마당에 국제선 추가 취항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게다가 기름값을 비롯한 물가상승이 계속되는 등 서민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도 집권 4년차를 맞은 이 대통령 국정운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경제대통령’을 표방하고 있는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서민경제 체감도와 직결된다는 이유에서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성장과 물가 가운데 물가에 더 심각하게 관심을 가지고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공언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성과는 아직 찾기 힘들다. 올 3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4.7% 오르면서 석 달째 4%대 ‘고공행진’을 기록했다.
또 대외적으론 일본 대지진 참사에 따른 우리 국민과 정부의 인도주의적 지원에 힘입어 모처럼 훈풍이 불던 한·일관계도 일본 중학교교과서의 ‘독도 영유권’ 주장 강화로 인해 다시금 냉각기에 접어든 형국이다.
여권 관계자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 재보선 결과마저 예상치를 크게 밑돌 경우 대통령의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 조기화와 국정운영 주도력 약화는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이 대통령은 ‘열심히 일하면 레임덕은 없다’고 했지만 제대로 일을 해야 레임덕도 극복할 수 있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