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특히 은행들의 과도한 기업 및 가계대출 대출 확장 등 과당경쟁 사례가 발견되면 즉시 검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국민은행에 대한 정기검사에서 최근 급증한 기업대출 부문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지난주 끝난 예비검사에서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이 올 들어 2개월 동안 1조원 이상 급증하는 등 이상 징후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민은행은 리딩뱅크 지위를 놓고 시장점유율 경쟁을 벌일 소지가 있다”며 “과도한 몸집 불리기를 시도한 정황이 포착되면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경영진이 실적 확대를 위해 무리하게 영업을 하지 않는지, 또 이에 대한 내부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뿐만 아니라 다른 은행의 과당경쟁 사례가 발견되면 다른 은행에 대해서도 정기검사 일정과 관계없이 연계검사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이다.
권혁세 신임 금감원장도 취임 직후부터 은행들의 과당 경쟁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잇따라 보내고 있다.
권 원장은 취임 직후 인터뷰에서 “조금이라도 무리하는 징후가 포착되면 관용을 베풀지 않겠다. 그동안 금융회사의 돈벌이 욕심에 금감원이 너무 온정적이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기업과 외환, 무역금융, 퇴직연금 등 새 비즈니스를 하는 데 관심이 있다”며 과당 경쟁 논란을 일축했다.
국민은행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데 대해서는 “금융위기 여진에 따른 것으로 큰 문제가 없으며 KB국민카드는 연체율이 줄어들고 있다”며 “과거 카드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위험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별도의 실적 목표를 부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국민은행에 대한 예비검사 결과를 토대로 오는 7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본 검사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국민은행의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에 대한 투자 진행 상황과 커버드본드 투자 손실에 따른 후속 조치, 전산회계 문제점 개선 여부 등도 함께 점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