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 과정을 통해 지역민 및 시민단체가 직접 참여하는 예산제 시행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 및 합리적 제도 마련을 구축케 된다.
앞서 시는 지난해 주민참여예산제 시행을 위한 사전 입법예고 및 주민공청회 등의 주민참여예산제 조례(안)을 마련·시의회에 심의를 요청 중이다.
이번 조사는 시 홈페이지와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서면 설문지로, 인터넷 설문에는 267명이, 서면 설문에는 781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지역민 대부분이 34.2%의 '매우 필요'와 31.5% '대체로 필요'의 답변이 나와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시행에 따른 성과로는 '예산편성 투명성 제고'가 41.2%, '선심성 예산편성 방식 극복'이 29.6%, 하지만 지역별 집단 이기주의를 우려한 답변도 19.1% 나왔다.
시는 이 결과를 토대로 조례를 마련, 주민참여기구 구성 및 교육 등으로 이 제도를 정착시켜 나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 시민 대부분이 주민참여예산제 시행으로 재정 운영의 민주성과 투명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인식을 확인했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를 적극 반영해 '성공적이고 내실 있는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사전 준비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