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통신은 일본 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난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도쿄전력의 국유화 가능성이 있고 손해배상에 필요한 비용을 정부가 떠맡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 재해 피해, 카타리나·고베 지진 능가
일본 정부는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이 최소 1900억 달러, 최대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05년 허리케인 카타리나와 1995년 고베 지진의 피해 규모를 훨씬 넘는 것으로 사상 최대 금액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골드만 삭스의 이코노미스트 바바 나오히코는 "이전 지진과 중요한 차이점은 발전소 사고로 인한 대규모 전력 손실과 공급망의 훼손"이라며 전력 공급 차질이 올해 내내 생산에 차질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피해 상황을 보면 일본 북부의 17만여 가구는 정전 상태이고 20만 가구는 수돗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약 4만6000 곳의 빌딩은 화재 피해를 보거나 파괴됐으며 도로 2000여 곳, 교량 56개, 철로 26개도 피해를 보거나 파괴됐다.
◇ 400개 기업 170억 달러 이익 손실 예상
노무라는 도요타 자동차, 소니 등 우량기업들이 포함된 노무라 400지수를 구성하는 400개 기업이 올해 회계연도(2011.4.1~2012.3.31)에 전력 공급 감소로 170억 달러의 이익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노무라는 "도쿄전력과 도호쿠전력이 담당하는 지역의 회사들에 대한 전력 공급 문제의 장기화로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이 지역에 있는 회사들은 일본 경제 활동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진 복구 사업이 최고조에 달하면 장기적인 측면에서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겠지만 일본 북부 지역을 담당하는 도쿄전력과 도호쿠전력이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기 전까지는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 피해보상 등 추가 비용도 만만찮아
보험회사들은 이번 재해로 50억 달러의 비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리스크 모델링 업체들은 보험사의 비용이 3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도쿄전력이 대규모의 피해 보상 요구에 시달리고 있고 국유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멜릴린치는 피해 보상 요구 규모가 1330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며 도쿄전력이 발전소를 조기에 안정시킨다면 피해 보상 규모는 줄어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구제에 나선다면 도쿄전력의 채무까지 떠맡아야 한다. 도쿄전력은 지진 발생 이전 910억 달러의 채무가 있었고 지진 발생 이후 240억 달러를 은행들로부터 대출받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