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조우..6.25서 전사한 형제 같이 안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05 13: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6.25전쟁 당시 형을 뒤따라 입대해 전사한 동생이 60년 만에 형의 곁에 돌아왔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은 5일 작년 10월 말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백석산(해발 1천142m)에서 발굴된 고(故) 이천우 이등중사(병장)의 유해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이등중사는 자신보다 4개월 전에 전사한 형 고(故) 이만우 하사 묘 바로 옆에 안장된다.

국방부가 발굴된 전사자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하는 관례를 깨고 서울현충원에 모신 것은 이들 형제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상기하기 위한 것.

특히 이 이등중사는 낙동강전투의 막바지인 1950년 9월 초 형이 입대한지 한 달 만에 홀어머니의 만류를 뿌리치고 19세의 어린 나이에 자원입대했다.

또한 그의 형인 이 하사는 1950년 8월 1사단에 입대해 낙동강전투와 평양탈환전투를 거쳐 1951년 5월 봉일천전투에서 전사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하지만 가족은 이 사실을 60여년 동안 모른 채 지내왔다.

국방부는 인식표에 새겨진 군번과 이름으로 신원을 확인한 뒤 이날 육군 53사단장과 박신한 유해발굴감식단장을 유가족 자택으로 보내 김관진 장관이 서명한 신원확인 통지서와 위로패, 유품 등을 전달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어린 나이에도 나라의 부름에 기꺼이 응한 뒤 무공을 세우고 안타깝게 전사한 두 형제의 사연은 결코 흔치않은 귀감이 될 사례”라며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형제의 애틋한 우애와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널리 알리기 위해 이천우 이등중사의 유해를 형의 곁에 안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2007년 7월 서해 야간비행 중 순직한 박인철 대위가 1984년 팀스피리트훈련 중 순직한 아버지 박명렬 소령 옆에 묻힌 이래 현충원에 혈육이 안장된 사례는 이번이 두번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