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소식통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이 배석한 가운데 열린 두 광역지방자치단체장과의 오찬에서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 국익과 미래세대를 위해 불가피했다”는 취지로 백지화 결정 배경을 설명하고 거듭 이해를 구했다.
또 이 대통령은 “앞으로 더 촘촘하게 지방정책을 챙기겠다”며 TK 등의 지역발전을 위해 “정부가 적극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두 단체장도 저마다 지역 내 주요사업에 대한 정부 측의 지원과 관심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이 대통령의 다른 공약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TK 지역 분산배치 문제가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 수석은 6일 “그럴 만한 자리가 아니었다”며 “대통령도, 단체장도 과학벨트에 대해선 언급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두 단체장이 '지역사업 건의서'로 보이는 보고서를 이 대통령에게 전달했는데 그 안에 그런(과학벨트에 대한) 내용이 있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박형준 대통령 사회통합특별보좌관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대통령이 과학벨트를 처음 구상할 때 충청권, 특히 세종시 입지를 고려한 건 사실이나, 여건이 바뀌었는지 여부는 과학자들이 엄밀히 평가할 부분이다”면서 “과학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 부산·경남 지역 광역단체장과 영남권 의원들과도 잇달아 면담 일정을 잡아 신공항 백지화 결정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역발전정책의 우선 방향으로 기업 유치를 꼽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충북 오찬 과학산업단지에서 열린 LG화학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 준공식 축사를 통해 “지역발전의 원동력은 기업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일자리 창출이다”면서 “새로운 지역발전전략의 핵심은 특색 있는 선도 산업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정부는 대한민국의 모든 지역들이 특성화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앞으로도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