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식약청, ‘골다공증’ 의약품 매뉴얼 발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07 10: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규복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가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설명한 의약품안전사용매뉴얼 ‘골다공증,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를 발간·배포한다고 7일 밝혔다.

골다공증은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골 생성과 오래된 뼈를 제거하는 골 소실 속도에서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뼈의 질량감소와 뼈 조직의 구조적 퇴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국내 골다공증 진료 환자 수는 2009년 74만명 등 최근 4년간 연평균 13%씩 증가하는 추세다. 서구 선진국처럼 노인인구의 급증이 골다공증 환자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영양섭취의 불균형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골다공증 치료제로는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구입할 수 있는 전문약의약품인 여성호르몬제와 비스포스포네이트제 등과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인 오소판물질이 있다.

여성호르몬제인 에스트로겐은 투여를 시작하기 전 가족력과 환자의 질병상태 등에 대한 사전검사를 통해 투여가 안전한지 평가돼야 하며 투여기간동안 환자는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스포스포네이트제로는 알렌드론산, 리세드론산, 파미드론산 등의 성분이 있으며 이들 약제는 식도점막에 국소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컵 이상의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되 복용 후 30분 동안은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오소판물질은 뼈를 구성하는 각종 물질이 포함된 추출물로서 과량투여 시 주성분인 칼슘으로 인한 고칼슘혈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정해진 용법·용량을 지키는 것이 좋다.

식약청은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건강한 식습관과 금연?금주를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충분한 칼슘과 비타민D 섭취를 유년기부터 실시하고 규칙적인 야외 운동으로 골밀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정보는 식약청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복약정보방(http://medication.kfda.go.kr)에서 찾아 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