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과학벨트 개념을 애초의 (과학)도시 개념으로 보느냐, 도시에서 확장한 벨트의 개념으로 보느냐에 따라 분산이냐 통합이냐의 개념이 달라진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분리 여부를 논하기 위해선0 과학벨트 개념부터 정리해야 한다”면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같은 핵심시설을 같은 곳에 두는 걸 '통합'이라고 할지, 아니면 분원을 다른 데 두면 '분산'이라고 할지도 시각에 따라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앞으로 과학벨트 입지선정위원회에서 그런 용어도 규정해야 한다”며 “어제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게도 위원회가 이런 개념부터 정리하고 시작해야 한다”고 전했다.
임 실장의 이 같은 언급은 과학벨트의 양대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은 한 곳에 두되, 나머지 시설은 다른 지역에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임 실장은 “과학벨트 공약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와 같은 과학도시에서 출발했으나, 도시에 집중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가령 대전에 집중하면 경기도 분당에 사는 과학자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느냐는 문제가 있었다”면서 “그래서 바이오단지는 충북 오송 등에 이미 있으니 그쪽으로 (보내고), 정보기술(IT)단지는 충남 천안에 있으니 그쪽을 연결시키는 개념으로 확장한 게 과학벨트다”고 설명했다.
한편 임 실장은 유류세 인하 문제에 대해 “정부에서 단계별 시나리오가 있다”고 말했고,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 번역 오류에 따른 김종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선 “국회에서 그런 수모를 겪었는데 나라도 그만둘 것 같다. (김 본부장은) 자리에 연연하는 사람이 아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