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동사태 진정 후 신규 발주 적극 대응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12 14: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한상의 ‘중동사태 세미나’서 강신영 해외건설협회 실장 발표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중동사태가 진정되면 경기부양과 민생안정을 위해 인프라․설비 투자가 확대될 것이므로 국내 건설사들은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12일 남대문로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중동사태의 경제적 파급효과 전망 세미나’에서 강신영 해외건설협회 실장은 이같이 주장했다.

강 실장은 “이번 중동사태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리비아 등 일부 국가에서의 수주활동이 위축될 것”이라면서도 “사태가 진정되면 경기부양 효과가 큰 건설경기 위주로 투자 확대가 예상되므로 국내 건설기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GCC(Gulf Cooperation Council ; 걸프협력회의) 6개국의 향후 5년간 프로젝트 발주 규모가 1조 3000억불로 예상된다”면서 “최근 유가상승으로 많은 오일머니를 축적한 것도 신규발주 확대에 큰 몫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발표를 통해 “중동사태의 진정 시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하반기 이후 유가상승세가 멈출 경우 세계경제는 회복추세를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전체적인 성장활력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가·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압박이 소비회복을 제약하면서 올해 국내 경제 상승률은 4%대 초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이번 중동사태의 본질적 원인은 물가상승에 따른 국민의 생활고, 권력세습과 장기집권에 따른 부패 등 경제·정치적 문제들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폭발한 것”이라 규정하면서 “사태 이후 중동국가들은 과거의 성장기조보다는 분배기조가, 상인정신에 기반한 무역보다는 제조업 분야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서 교수는 “대중동 외교전략에 있어서도 포괄적 접근보다는 쌍무적 동반자 관계 구축 등의 맞춤형 외교를 펴야 할 때”라면서 “경제 뿐 아니라 문화외교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경남기업, 대림산업, 대우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삼환기업, 코오롱 건설, 한진중공업, 현대상선, 현대엠코, 현대오일뱅크, GS건설, IBK투자증권, LG상사, SK건설, KCC건설 등 중동지역 진출 관심기업 임직원 60여명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