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中물가 1% 오르면 韓물가 0.15% 상승”

  • 두바이유 가격 10% 오를 때와 비슷한 정도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중국 물가가 1% 오르면 한국의 수입물가도 올라 최대 0.15% 한국 물가가 오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2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중국 인플레이션의 우리나라 전이 가능성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의 소비자물가 1% 상승은 3개월 후부터 한국 소비자물가를 0.13% 상승시키며 10개월 후에는 최대 0.15% 정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1년3개월이 지나고서 나타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KIEP는 1990년대 한국의 물가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중국 인플레이션이 2000년대 들어 유가와 더 불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대두됐다고 '벡터자귀회귀모형(VARX)'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분석 결과 두바이유 가격이 1% 상승하면 즉각 한국의 물가가 0.012% 상승하지만 3개월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사라졌다.

KIEP는 중국 물가가 한국 물가 상승에 주는 충격에 대해, 중국의 물가 1% 상승은 두바이유 가격이 10% 오를 때와 비슷한 정도의 영향을 주며 지속 기간은 유가 상승보다 중국의 물가 상승이 더 긴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미국과 일본의 인플레이션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KIEP는 또 과잉 유동성과 자산가격 상승 등을 배경으로 중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제 원자재 가격과 임금상승 등에 따라 중국의 물가 불안 요인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KIEP는 “해외의 물가상승 압력은 주로 우리나라 수입물가를 통해 전이되므로 환율안정을 기할 수 있는 외환시장 정책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중국 외에도 신흥국의 물가상승이 확대되고 있어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물가불안 징후가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차단하기 위한 미시적 정책대안을 마련하고 거시적 차원의 비상계획을 마련해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