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은 유네스코가 인증한 생물권보전지역, 세계 자연유산, 지질공원 등의 체계적 보전 관리방안 등이다.
또 선보전 후개발과 곶자왈, 오름, 습지 등 환경자산의 가치보전을 위한 추진전략 방안도 마련된다.
자연환경, 도시.자연경관 등 부문별 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환경보전 목표와 방향도 구체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도는 올해 수립되는 ‘제2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환경부문 추진방향과도 연계시킬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