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위원장은 13일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삼성 동반성장 협약식'에서 축사에 나서며 동반성장 정책과 관련해 언급했다.
그는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있는데 이는 양극화 해소 등 우리 사회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것"이라며 포퓰리즘은 무분별한 복지정책을 강조하는 야당의 정책이라는 의미로 위와 같이 말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의 무상급식 등 복지확산 정책에 대한 날선 비판에 나선 것. 이번 행사는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들이 1, 2차협력사들과 동반성장을 위한 협약식을 치르는 자리다. 이 자리에서 축사를 위해 참석한 정 위원장이 급작스레 야당의 복지정책을 비판하며 '포퓰리즘'이라는 표현을 한 것은 이례적이다.
아울러 그는 "복지시스템 정비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앞서 시장정비체제에 대한 신뢰회복이 중요하다"며 "양극화를 완화하면서도 성장이 가능하다는 사회적 합의를 이뤄야 하며 중소기업의 성장기반을 강화하해 일자리를 넓히고 근로자들의 처우도 개선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 "초과이익공유제를 추진할 것"이라며 "동반성장위원회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대기업들의 공유 실태를 조사해 이를 동반성장 지수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익공규제의 의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이익을 협력업체에 현금으로 지급하라는 것이 아니라 기술투자·인재교육·고용안정 등을 지원하라는 것"이라며 "기업들은 자율적인 판단에 의해 공유 방안을 찾으면 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