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의혹' 소사~원시 복선전철 향방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13 18: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업계 “사업시행자 변경까지 가는 상황은 가지 않을 듯”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소사∼원시 복선전철 임대형 민자사업(BTL)의 사업시행자 선정 비리 의혹을 둘러싸고 검찰이 수사에 나서면서 사업의 향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약정을 마무리하고 실시계획승인까지 받아 착공에 들어간 사업인 만큼 사업시행자 변경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검찰의 수사 수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1조원이 넘는 소사~원시 복선전철 사업은 지난 2008년 사업자 선정 당시 10대 건설사들이 4개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사업권을 따냈었다.

당시 기술 점수는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1위를 차지했지만 가격 점수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1위를 하는 등 평가결과가 엎치락 뒤치락했고 결국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됐다.

지난 2008년 피맥(PIMAC, 공공투자관리센터)이 진행한 심사 현장에 입회했던 국토해양부 주무관이 ‘왜곡 의혹’에 대해 작성한 문건이 공개되고 국민권익위원회가 평가 과정에서 업체들의 발표순서가 뒤바뀌고 배점표가 조작됐다고 고발해 현재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상황이다.

검찰 수사에서 문건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1조원이 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이 철도와 연결되는 대곡~소사 철도 BTL까지 영향을 끼쳐 수도권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대곡(경기 고양)~원시(경기 안산) 철도’프로젝트가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국토부와 피맥 모두 이에 대해 각각 브리핑을 갖고 의혹에 대한 증거자료를 제출하는 등 의혹 해소에 전력을 다하면서 검찰 수사 결과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 12일 내부 문건에 대해서는 실무자인 주무관이 평가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을 정리한 자료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고, PIMAC도 선정과정 절차와 배점표 조작 의혹을 반박했다.

업계 관계자들도 “건설사 입장에서는 검찰의 수사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검찰 수사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더라도 사업을 취소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사업시행자가 변경되는 상황으로 가기에는 무리”라고 의견을 모았다.

한편 소사∼원시 철도는 총 연장 23.3㎞에 정거장 12개소로 사업시행자인 이레일㈜이 1조5495억원의 자금을 조달해 건설하고 시공을 비롯해 20년간 역무 운영 및 선로 유지보수를 하게 된다.

이레일㈜는 대우건설, 현대건설, 한화건설 등 11개 건설사와 KB소사원시철도프로젝트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등 1개 재무적투자자가 출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