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해 가계부실의 위험요소로 부상하면서 가구별 부채변화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795조40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가계부채의 가파른 증가와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계 재무건전성을 미시적으로 진단해 정부 및 금융당국의 정책추진에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소득, 자산보유, 계층별, 연령대별 가구특성별 가계부채 규모와 분포 ▲상환방법 ▲대출용도 ▲담보형태 ▲대출기관 ▲원리금 상환 부담 등을 자세히 파악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조사는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같은 기간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직접 겪은 국가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서 자산 및 부채 규모와 구조,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위기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지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이인실 통계청장은 “예금통장과 대출계약서 등을 봐야 답변 가능한 내용이 있어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며 “하지만 아주 적은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작성을 위해 국민들이 협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두번째 실시되는 것으로 지난해 말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처음 실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