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KDI를 이끄는 사람들①]고영선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본부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17 1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고영선 연구본부장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KDI가 단행한 연구조직개편에서 단연 눈에 띄는 인물이 고영선 연구본부장이다. 1993년 초빙연구원으로 KDI에 발을 담근 지 13년만에 정책연구업무 전체를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최고의 두뇌로 인정받은 셈이다.

그는 소감을 묻자 “개인적으로는 아쉬움이 없지 않다”고 운을 뗐다. “해야 할 연구가 많은 데 중책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는 그는 이내 한국경제의 과제와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소신을 술술 풀어내기 시작했다.

화두로 떠오른 ‘복지’분야에 대한 그의 소신은 뚜렷했다. “무분별한 복지 지출은 결국 후세대에 엄청난 부담을 초래할 수가 있어요. 다만 재정상황을 봐가면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는 있고, 충분히 그럴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봅니다”

국내 재정·사회 분야 최고의 정책연구 전문가로서 평가받는 그에게 강한 자신감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일자리 창출에 쏟는 그의 고민은 남다르다. “일자리 문제는 취업할 사람은 넘쳐나는 데, 정작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구조 때문인데, 근본적으로는 교육의 문제예요. 대학 구조조정을 통해서라도 경쟁력이 없는 곳은 스스로 설 자리를 없도록 해야 하고, 고등학교 교육을 통해서도 전문분야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 줘야 합니다”

고 본부장은 획일화돼 있는 국내 대학교육에 하고 싶은 말이 많아 보였다. 특히 약사, 변호사, 의사 등 전문자격사 시장 진입 장벽에 불만이 컸다.

일부에서 충격요법이 동원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중소 동반성장은 현행 법집행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이해는 됩니다. 지금까지 다각적인 대책들이 나왔지만 결국 아무것도 변한게 없으니까요.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공정거래위원회 등 집행기관이 불공정한 하도급 관행을 엄격히 관리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봅니다.”

정부에 쓴 소리도 내놓았다.

“중소기업 문제는 지방 발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청 등에 집중된 현 구조로는 지방, 중소기업 어느 것도 바뀌기 어렵죠. 궁극적으로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는 권한을 지방에 상당 부분 이양해야 합니다. 지자체가 소신을 갖고 추진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게 필요합니다”

개략적으로나마 KDI 연구정책방향도 들어볼 수 있었다.

“당장 이슈가 되는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 한국경제가 풀어내야 하는 과제를 하나 하나씩 발굴해 내고, 이를 면밀히 들여다 봐야 하는게 국책연구기관의 소임이라고 봅니다. 경제구조가 다변화되는 데 맞춰 한국경제의 싱크탱크로 거듭나겠습니다."

고 본부장은 “경제학자지만, 이제는 경영마인드도 갖춰야 한다고 본다"며 각오를 내비치기도 했다.

온화한 성품으로 원내 상하 직원들의 신임이 두터운 그가 1년 뒤 KDI를 어떻게 변모시킬 지 안팎에서 주목하고 있다.

◆약력
서울 출신으로 대신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KDI에 들어와 재정·사회개발연구부 선임연구위원(2003년), 거시·금융경제부장(2006년), 재정·사회개발연구부장(2007년) 등 주요 보직을 두루 섭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