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가 없어 못파네…" 현대·기아차 행복한 걱정

  • 벨로스터·K5 물량부족, 해외생산 박차…노조반발 우려도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연일 최다판매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기아차가 '행복한' 걱정에 빠졌다. 물량이 부족해 출고가 연일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국내외 공장 가동률을 최대한 끌어올렸지만 이마저도 부족한 상태다.

현대차는 이달 초 노조와 2개월 가까이 끌었던 인력(맨아워) 협상을 마무리짓고 ‘벨로스터’ 생산을 재개했다. 하지만 고객은 이달 말부터나 순차적으로 신차를 받아볼 수 있을 전망이다. 썬루프 옵션 선택 고객이 예상을 뛰어넘어 물량 확보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현대차 국내영업본부 관계자는 “썬루프를 찾는 고객이 보통 때의 2배 이상”이라며 “출고는 이달 말부터지만 썬루프 선택 고객은 좀 더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쏘나타의 썬루프 장착률이 30~4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벨로스터의 썬루프 장착률은 60~80%에 달한다. 사실상 대부분 차량의 출고가 더뎌지고 있는 셈이다.

벨로스터는 이달 들어서도 매일 30여 대가 계약되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기아차 K5다. 출시 1년이 지났지만 인기가 여전하다한데다, 북미 수출물량 확대와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까지 겹치며 물량부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올들어 K5의 월평균 판매대수는 7000대 전후. 그나마도 물량이 달려 고객이 2~3개월씩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계약대수로만 보면 신형 쏘나타 이상의 인기를 끌고 있다.

기아차 화성공장에서는 지난달 노사 협의 끝에 K5 생산물량을 10%(월 1500대 가량) 늘렸다. 하지만 최대 생산대수 1만5000대 중 8000대를 북미 등 해외에 수출하고 나면 생산물량은 여전히 부족하다. 게다가 북미 딜러들도 물량을 늘려달라고 독촉하는 상태다.

이달 중순부터 같은 공장에서 K5 하이브리드도 함께 생산된다. 오히려 월 1000대 규모의 K5 하이브리드 생산분만큼 K5 생산이 줄어든다.

기아차는 이에 지난해 15만~16만대 규모였던 미국 조지아 공장의 설비확장에 박차를 가해 올해 26만대 생산체제를 완비, 부족분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6월 시운전을 마치고 9월로 예정된 K5 현지 생산도 앞당긴다는 목표다.

다만 이 경우 국내 노조의 반발이 예상된다. 이재록 기아차 재경본부장(부사장)은 지난 1월 “해외생산에 대해 노조와 협의해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