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19일 한국거래소 본관 1층 국제회의장에서 김반석 부회장 주재로 ‘1분기 기업 설명회’를 갖고 △매출액 5조 4909억원 △영업이익 8353억원 △순이익 6566억원 등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매출과 영업익 순익 모두 사상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이다.
전년동기와 대비해서는 매출은 24.1%, 영업이익은 28.0%, 순이익은 26.8%가 각각 증가했다.
LG화학에 따르면 1분기 석유화학 부문은 △PO(폴리올레핀)부문의 프리미엄 제품 매출 확대 △PVC 및 ABS제품의 수요 호조 지속 △아크릴 및 합성고무 제품의 가격 강세 지속에 따른 높은 수익성 유지 등 전반적인 시황 호조로 인해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정보전자소재 부문도 IT경기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수요 약세에도 불구 △광학소재사업의 3D Retarder(3D용 광학필름) 판매호조 및 지속적인 원가 절감 노력 △소형전지 사업의 스마트폰, 태블릿 PC용 고용량 배터리 판매 확대 등 원가절감 및 신제품 매출 등을 통한 수익성 확보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LG화학 관계자는 “지난 2006년부터 6년째 꾸준히 추진해온 ‘Speed 경영’이 모든 사업부문과 임직원 개개인에 깊숙이 체화돼 사람과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도 탁월한 실적 달성의 중요한 배경”이라며 “실제 Speed 경영을 통한 에너지 절감, 생산성 증대, 최고의 기술력 확보 등의 전사적인 경쟁력 활동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 4조 2928억원 △영업이익 735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29.7%, 영업이익은 50.1%가 각각 증가했다.
정보전자소재 부문은 △매출액 1조 1930억원 △영업이익 112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3.5%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5.6%가 감소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의 경우 전분기 대비로는 156.7%가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4분기부터 이어진 IT경기의 지속적인 부진을 감안하면 높은 실적 개선을 보인 것이다.
LG화학은 2분기 사업전망과 관련해서는 “석유화학 부문은 주요 업체들의 정기보수로 인한 공급제한 및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강세가 예상되고,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원가 경쟁력 활동을 더욱 강화해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보전자소재 부문도 전반적인 IT수요 회복 및 주요 고객사의 3D TV, 태블릿 PC 등 신제품 판매 증가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