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을 만나 “FTA의 조속한 비준을 위해 노력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한데 이어, 18일 짐 웹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원장(민주당), 19일 미치 매코넬 공화당 대표 등 미 상원의원들과의 잇단 접견에서도 FTA 조기 비준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미국 측에 FTA 비준 노력을 거듭 주문하고 나선 건 최근 달라진 미 의회 내 분위기와도 무관치 않다. 더불어 “미 의회가 한·미FTA를 먼저 비준할 경우 우리 국회의 비준을 앞당기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란 계산이 깔려 있다.
그간 야당인 미 공화당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콜롬비아·파나마 등 3개국과의 FTA를 일괄 비준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한·미FTA를 선(先)비준할 경우 오바마 행정부가 콜롬비아·파나마와의 FTA에 대해선 성의를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최근 미국과 콜롬비아·파나마 간의 FTA 쟁점 협상이 타결 수순에 접어듦에 따라 공화당도 더 이상 한·미FTA 비준을 미룰 명분이 없어지게 된 것. “한·미FTA 비준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는 클린턴 장관의 지난 16일 한·미 외교장관 회담 발언도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이 대통령에게 남은 건 국내 상황이다. 당초 정부·여당은 상반기엔 한·유럽연합(EU) FTA를, 그리고 하반기엔 한·미FTA를 각각 비준한다는 시간표를 갖고 있었으나, 최근 FTA 협정문 번역 오류 논란이 불거지면서 그 시점을 기약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여권 관계자는 “내년엔 총선과 대선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연내에 FTA에 관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게 이 대통령의 생각이다”면서 "미 의회 뿐만 아니라 우리 국회를 상대로도 FTA 조기 비준을 위한 설득 작업이 계속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매코넬 대표는 이날 이 대통령과의 접견에서 한·미FTA에 대한 지지 입장을 전하며 “한국 측의 비준 절차도 원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웹 위원장도 “경제적, 전략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한·미FTA의 조속한 비준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