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창수 GS회장. |
20일 역삼동 GS타워에서 계열사 CEO를 비롯한 경영진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1년 2분기 GS임원모임에서 ‘위협요인에 대한 대비’를 강조한 것이다.
이날 허 회장은 “일본에서 큰 사고가 있었고 중동ㆍ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사회 경제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우리 주력업종의 특성상 중동ㆍ아프리카는 중요한 시장이자 협력 파트너이므로 최근 이 지역에서 일어나는 큰 흐름의 전략적 의미를 잘 새겨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먼저 “중동ㆍ아프리카 시장이 단기적으로는 상당한 불안요인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본다면 여러가지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과거의 사례를 보면 어떤 사회가 다원화, 자유화 된다고 해서 경제적 번영까지 반드시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한 시스템과 청렴한 사회구조는 효율적인 경제활동을 촉진하는 효과가 분명히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 신흥시장들의 사회적 변화가 어떠한 경제적 효과로 귀결될 것인지 단계 단계 면밀하게 분석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각 사업분야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또 허 회장은 “일본의 원전사태도 우리의 주력 사업분야들에 어떤 형태로든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아직은 그 여파를 예단하기에 빠른 감이 있지만, 미리 미리 살펴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허 회장은 기업들이 겪는 위험에 대해 “비록 유형은 다양했지만 잘 살펴보면 상당히 오랜 기간 문제가 누적돼 왔고, 사안의 내용도 과거에 여러 차례 경험했던 전형적인 유형들이라는 공통점이 눈에 띈다”면서 “이러한 위험들이 제대로 관리되기 위해서는 마인드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허 회장은 “사자는 토끼 한 마리도 혼신을 다해서 잡는다고 하듯이 자만심을 버리고 집중력을 발휘해야 한다”며 “동일한 문제가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것은 시스템의 불비(不備) 때문이므로 전사 부문에서 시스템에 허점이 없는지 꾸준히 재점검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부분의 위험요소는 아주 가까운 곳에서 소리없이 커가고 있다는 점”이라며 “주의 깊게 챙겨보지 않으면, 상당한 기간이 지나서야 비로소 드러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항상 등잔 밑을 눈 여겨 보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허 회장은 “위험의 관리를 강력하게 실천해야 하는 현장의 과제로 인식할 것”을 당부하면서 “그렇지 못하면 모든 위험관리 활동은 형식적으로 흐르기 마련이므로 반드시 최고 경영자의 책임과 관심하에 실행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