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물고기연구소 김동수 소장 연구팀은 에드워드 병의 원인이 에드워드시엘라 탈다균(Edwardsiella tarda)감염이라는 것을 밝히고, 이 균의 염기서열을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 등재했다고 20일 밝혔다.
김 소장은 “이번에 발견한 균은 기존에 알려진 균들과 전혀 다른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며 “이번에 발견된 3종의 염기서열 표식을 영문 ‘GYEONGGI 01’(경기01)로 명명하고 등재했다.”고 설명했다.
에드워드병은 양식 메기 폐사 원인의 50%를 기록할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이 균에 감염된 메기는 배가 부풀어 오르면서, 신장과 비장에 고름이 생기는 증상을 보인다. 메기는 침입한 균을 죽이기 위해 백혈구에서 과산화수소를 분비해 공격하지만, 이 균은 과산화수소를 분해해 물과 산소로 만드는 카탈라제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특히 메기에 많은 피해를 입혀왔다.
김 소장의 이번 연구 결과는 수산학계의 세계적 학술지인 Aquaculture Research지에 2009년과 2010년 나눠 게재돼 국제적으로도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김동수 소장은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 유전자 등재로 민물고기 연구소의 바이오기술 능력을 인정받았다”며 “국제 수산동물 질병연구에 중요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내수면양식 총 생산량은 연간 2만톤으로 메기 양식은 8천톤에 달하는 뱀장어에 이어 두 번째로 큰 5천톤 규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