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식량위기 이미 시작]식량->유가->식량 '인플레 악순환' 亞성장 막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1 18: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가 상승에 공급물가 올라…먹거리 가격 상승 부추겨<br/>서민층 '식탁물가'와 직결…WB "4400만명 빈곤층 전락"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이른바 '푸드 인플레(Food Inflation)'가 한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 물가상승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곡물가격 상승이 관련 물가를 부추기는 '애그리플레이션(Agriflation)'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협소한 개념으로, 서민들의 '식탁물가'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각국의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먹는게' 문제가 될 수도

실제로 국내 물가는 가공식품 위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보고에서도 '먹을거리 물가' 대응방안과 서민경제 활력 제고가 단연코 가장 이슈가 됐다.

먹을거리 물가 상승은 일단 지수로도 확인할 수 있다. '장바구니 물가'로 대변되는 생활물가지수는 3월 기준으로 전년 동월대비 4.9% 올랐다. 같은달 소비자심리지수(CSI)도 98을 기록, 2년만에 기준치 100 이하로 떨어졌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경제관련 기구들도 신흥국 '먹을거리 물가'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창용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아시아를 포함한 신흥국의 인플레가 경제성장을 다소 늦출 수 있다"며 "특히 하루에 1.25 달러 이하로 먹고 사는 빈곤층이 아시아에 9억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끼니와 관련된 먹을거리 물가는 빈곤층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식량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경우에는 14% 정도에 그치지만, 아시아는 4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의 최대 과제로 식량가격 급등을 꼽았다.

세계은행이 지난 14일 발표한 식량가격 지수(전년대비)에 따르면 옥수수는 74%, 밀은 69% 오르는 등 세계 식량가격은 36% 올랐다.

이 결과 4400만명이 하루 수입 1.25 달러(약 1360원) 이하의 빈곤층으로 추락했다.

식량가격이 10% 더 오르면 1000만명이, 30% 오르면 3400만명이 추가로 빈곤층이 되는 것으로 예측됐다.

◆ 농축수산물 가격 내렸다는데...

경제성장률 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는 아직 '푸드 인플레'로 인한 빈곤층 양산 등을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공급측면의 물가상승 요인이 수요측 요인으로 확산, 결국 종착점은 서민 '식탁물가'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정부가 먹을거리 물가를 위한 방안을 따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무엇보다 이상한파와 구제역 등 물가불안을 조장하는 국내 요소가 사라졌음에도 불구, 여전히 밥상을 차리는데 돈이 많이 든다는 것이 문제다.

국내 불안요인이 해소되면서 농축산물 가격이 내려갔지만, 식품가격에 인하분이 전혀 반영이 안되고 있다는 것.

그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번째는 국제 곡물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라 국내 가격 하락 효과를 일부 상쇄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국제 곡물가격 인상분은 2~3개월 후에나 국내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식탁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

두번째는 신흥시장의 곡물가격 상승이 저소득층에 미치는 영향이 선진국보다 훨씬 크다.

선진국은 곡물 수요가 공급보다 적어서 여유생산능력이 있다. 반면 신흥국은 수요 압력이 있던 상황에서 공급측 요인(국제 곡물가격 상승)까지 겹쳐 식량가격의 상승요인이 훨씬 더 팽배해 있다는 것이다.

신석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기본적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의 대외충격의 탄력성이 다르다고 보면 된다"며 "특히 유가가 오르면 곡물가격도 동반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물가 구성 항목 중 식품 관련 지출이 높은 신흥국의 타격이 더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