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두절 후 멈춰선 한진텐진호.. 당국 "선원 안전 등 상황 파악이 먼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1 2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한진해운 소속 파나마 선적 7만5000t급 한진텐진호가 연락이 두절된 21일 정부 관계 당국과 한진해운 측은 하루 종일 정확한 사태파악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이날 새벽 텐진호와의 연락이 끊긴 지역이 소말리아 해적들이 자주 출몰하는 아덴만 근처인데다 ‘해적들의 공격을 받아 배가 납치됐다’는 소문까지 빠르게 퍼지면서 긴장감은 극도에 달했다. 지난 1일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 이후 “가장 우려했던 사태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오후 5시(한국시간)쯤 현장에 도착한 청해부대 최영함의 헬기 정찰 결과, 텐진호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은 목격됐지만, 선원이나 해적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 정부와 군 당국 관계자들은 선원들이 선박 내 대피소인 ‘시타델(Citadel)’로 피신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배가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선원들의 피신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 관계자는 “‘시타델’ 내에도 통신장비가 있지만 먼 거리까지는 교신이 되지 않는다”면서 “최영함이 근처에 도착한 만큼 조만간 상황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정부는 소말리아 해역을 항해하는 다른 나라 군함에도 상황 파악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청와대는 이날 오전 사건 접수 후 관련 내용을 곧바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외교통상부를 중심으로 상황 파악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관련 부처 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한진해운도 비상대책상황실을 가동하는 등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정부는 해당 선박에 승선한 한국인 선원 14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6명의 안전을 위해선 기본적 사실 확인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극도로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조병제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피랍 상태로 추정한다”고 밝힌 뒤 추가 언급을 하지 않았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도 “상황이 유동적이고 예민해서 군사작전 등 다른 걸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통신 두절 직후 텐진호가 움직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피랍상황과는 다르다고 판단했지만, 좀 더 정확한 상황 파악이 필요했다”고 거듭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