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꿈의 소재’ 그래핀 3차원 형태 조립성공

김상욱 KAIST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3차원 형태로 조립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는 다이아몬드보다 강도가 높으면서 잘 굽혀지고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등 우수한 특성들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는 뭉쳐 있거나 층층이 쌓여 흑연을 이뤄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김 교수팀은 그동안 축적해온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이용해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입자 단위로 분리한 뒤 3차원 형태로 조립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값싼 천연 흑연으로부터 단일층의 그래핀 유도체를 매우 높은 순도로 얻어내는 데도 성공했다.

이 같은 성과는 신소재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어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4월22일자에 특집기획 초청논문으로 발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