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룡마을 토지이용계획도 |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서울시가 28일 발표한 구룡마을 정비방안에 대해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향후 사업 추진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 25만2777㎡의 구룡마을 부지에 아파트 2793가구와 학교, 문화·노인복지시설, 도로, 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구룡마을 1242가구 거주민들의 재정착을 돕기 위해 1250가구는 영구·공공임대아파트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구룡마을 주민들은 이날 서울시청과 강남구청에서 공영개발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거세게 항의했다.
주민들은 주민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가 100명도 안되기 때문에 "SH공사가 개발하면 영구임대주택에는 100여 세대밖에 들어가지 못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 "지금껏 계획이 계속 바뀌어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어떻게 될지 모른다"면서 "또 쫓겨날 수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주민 김구철(51)씨는 "2년 전 공람까지 끝난 상태에서 구청과 시청이 서로 핑계를 대며 못한다하더니 갑자기 어떤 법적 근거로 이렇게 다시 한다는 것이냐"며 "또 미룬다면 우리는 다 쫓겨날 판"이라고 말했다.
다른 주민 김재완(40)씨도 "오랫동안 기다린 주민들이 원하는 만큼 SH공사가 줄 수 있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들은 2년전 민간 개발업자들이 제시했던 방식을 서울시에 요구하고 있다. 일단 임대주택을 받은 뒤 5년뒤 분양주택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서울시측은 임대아파드의 임대료가 현 거주민들이 감당할만한 수준이냐는 질문에 대해 "솔직히 임대보증금 내기 어려울 수 있다"며 "SH공사와 세부개발계획을 세우며 심도있게 검토하겠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