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전자상거래 도입, 석유시장 변할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03 1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고유가 대책으로 올 연말 전자상거래가 도입되지만 업계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정유사 과점체제로 고립돼 있는 석유 유통문제부터 해결되지 않는다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려면 정유사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구매자의 입장인 주유업계 관계자는 “살 사람은 얼마든지 가능한데 팔 사람이 적극 동의를 해야 가능하다”며 “(시장에)내놓는 가격이 좋으면 주유소는 살 것”이라고 말했다.

△ “값싼 제품 시장에 나와야”

그러나 정유사가 저가에 제품을 공급할지는 회의적이다. 전자상거래업체 관계자는 “이미 시장거래가 안정적으로 되고 있는데 정부가 싼 가격에 내놓으라고 한다고 정유사가 마진을 포기하겠냐”며 “정유사가 현물대리점(비정유사계열 대리점)에 내놓는 (가격의)범주 내에서 거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유사가 현물대리점에 공급하는 제품 가격은 일반 제품에 비해 통상 리터당 20~30원 정도가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마저도 점점 축소되는 추세다. 주유소들이 굳이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만한 이점이 없다는 것. 주유업계 관계자는 “파는 사람이 출혈경쟁을 하는 구도가 돼야 한다”며 공급자인 정유사간 경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나마 기대되는 부분은 세제지원이다. 정부는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시장 참여자들에 법인세, 소득세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시장 관계자는 “직접 세제를 관할하는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인센티브 대책을 내놨으니 두고 봐야 안다”는 반응을 보였다.

△ “중개수수료도 부담스러워”

과거 실패 사례를 보면 전자상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문제도 걸림돌이다. 허위거래로 대금을 떼이거나 불법 면세유 등 출처가 불분명한 제품으로 구매자가 피해를 보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런 부분에서 민간 회사가 아닌 공기업인 한국거래소가 직접 전자상거래를 운영한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렇다고 문제가 없지는 않다. 시장 관계자는 “전자상거래를 하면 수수료가 발생해 주유소는 차라리 정유사와 직거래하는 편이 낫다”며 “공기업이라도 수수료는 받을 것이고, 은행 담보 등의 거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는 데도 추가 수수료가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거래소도 전자상거래 ‘난색’

전문성이 떨어지는 부분도 약점이다. 기존 전자상거래업체들은 미리 가격을 예측하고 주유소들에 적절한 구매 타이밍을 알려주는 등 컨설팅도 지원하고 있다. 상거래가 지속되려면 주유소가 손해를 보지 않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시장 관계자는 “온라인과 함께 오프라인도 갖춰야 한다”며 “공급이 막혀 거래 물량이 없을 경우 자체 물량을 내놔야 하기 때문에 주유소, 저장소 다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거래소도 이처럼 어려운 숙제를 푸는데 애를 먹는 상황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정관에도 없는 업무를 맡아 어렵다”면서도 “전문가를 초빙하거나 외부 협조를 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여러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거래소 관계자는 “여건이 되면 언제든 하는데 여건이 안 돼서 못하는 것”이라며 “(석유유통시장의)수평거래나 수직거래가 활성화가 안 돼 있어 쉽게는 안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