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이핑(黃益平)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교수는 3일 월스트리트 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취하고 있는 ‘위안화의 점진적 절상’은 제대로 효과를 낼 수 없다”며 “조건부 자유 환율제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우선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를 강화해 급격한 자본이동이 경제에 타격을 가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환율 일일 변동폭도 5~10%로 제한해 환율의 급격한 등락이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1년 내 30% 가량 상승해 달러 당 5위안 수준에 안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황 교수는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 수출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이 앞으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수출업계가 수출 부가 가치를 높이거나 생산 라인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래야만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게 황 교수의 주장이다.
런민(人民)은행 통화정책위원 출신의 위용딩(余永定)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도 지난 3월 ‘태환 배우기’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중국 정부가 "위안화 절상으로 고통 받는 기업과 노동자를 도와야한다"고 촉구했다.
WSJ는 황이핑-위용딩 두 사람은 중국의 저명한 경제학자로 인민은행과 재정부 및 국가개발개혁위원회가 환율 정책을 바꾸도록 노력해왔다면서 그러나 아직까지는 두 사람의 이론이 지도부에서 큰 지지를 얻고 있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WSJ는 중국 지도부가 여전히 월 평균 0.5% 절상으로 환율 변동을 제한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한편 마켓워치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지난 3월 말 3조 달러를 첫 돌파한 상황에서 런민은행이 막대한 외화와 외화채권 가치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외환관리 운영 대책을 모색 중이라고 보도했다.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