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한화, 中 사업총괄 ‘한화차이나’6월 출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11 11: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CEO 금춘수 사장 내정...제조·무역-금융-유통·레저 등 3개 조직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한화그룹이 중국사업을 총괄하는 ‘한화차이나(Hanwha Group China)’를 설립하고 6월 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한화그룹은 베이징에서 제조·무역, 금융, 유통·레저 등 한화그룹의 중국 사업을 총괄하며 한화그룹을 대표할 총괄조직인 ‘한화차이나(Hanwha Group China)’를 설립한다고 11일 밝혔다.

한화차이나 초대 CEO에는 그룹 경영기획실장을 지낸 금춘수 사장(사진)이 임명됐다. 조직은 제조·무역 부문, 금융 부문, 유통·레저 부문 등 3개 사업조직을 기본 체제로 하며, 경영관리 부문이 CEO의 스텝 부서 역할을 한다. 전체 인원은 현지 채용 인력을 포함해 50여명 규모로 꾸려진다.

한화그룹은 2010년 말 현재 상하이에 본사를 둔 한화솔라원, 닝보의 한화케미칼 PVC 공장 등 9개 중국 현지법인과 10개의 지사를 통해 2조원이 넘는 매출(19억6000만 달러)을 기록하고 있다. 종사하고 있는 임직원수만 1만5000여 명에 이른다.

한화그룹은 이와 같은 중국 현지 진출 계열사들에 대한 효과적인 사업조정뿐만 아니라 중국 중앙정부와의 원활한 관계 구축 등 전략적 사항을 고려해 한화차이나의 본사를 베이징으로 결정했다.

한화차이나는 앞으로 △경쟁력 있는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현지화된 경영 △계열사간 시너지 제고 및 효율성 추구를 통해 중국 내에서 한화그룹의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나간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한화차이나는 향후 계열사들의 진출에 맞춰 필요에 따라 중국 각 지역에 지부를 설치하면서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법인으로의 전환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국 내 주요 도시에 그룹 사옥 신축 또는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

현지화된 경영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가 국토 균형 발전 및 지속성장을 위해 추진 중인 ‘서부대개발’ 사업과의 연계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광서자치구, 섬서성, 내몽고 등 서부지역 투자 중점지역을 이미 선정해 그룹 연관사업 및 신규사업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 또 중국 주요 도시에 대한 백화점 진출 타당성 여부도 검토하고 있다.

기존 추진 중인 사업도 한화차이나 설립을 계기로 더욱 박차를 가한다.

우선 제조·무역 부문에서는 그룹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인 태양광사업의 중국 내 신규 투자를 검토한다. 화학, 무역 등 기존 사업과 관련한 신규사업 개발도 적극 추진한다.

현재 태양광 사업을 맡고 있는 한화솔라원은 올해 말까지 치둥 공장의 생산능력을 태양전지 1.3GW, 모듈 1.5GW까지 확대하기 위한 증설작업이 진행 중이며, 난퉁에는 2012년 말까지 1GW의 태양전지와 모듈 생산설비를 새로 갖춘다는 계획이다.

한화케미칼의 경우 올해 초 본격 가동을 시작한 30만t 규모의 닝보 PVC공장을 2015년까지 50만t으로 증설할 계획이다.

금융 부문에서는 보험, 증권, 자산운용, 기술금융 등 금융사업의 기획과 개발뿐만 아니라 금융법규·리서치, 금융관련 세부업무 등도 추진한다.

중국 저장성국제그룹과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 중인 대한생명의 경우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부터 보험영업을 개시할 계획이다. 한화투신운용은 텐진 등 중국 내 주요도시에서 자산운용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유통·레저부문에서는 식품소매유통 및 식음서비스등과 관련한 신규사업 개발에 매진한다.

이를 위해 현재 중국 내 주요 도시와 상권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 상황에 관한 시장조사를 진행 중이며, 서비스업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사업 모델의 개발과 현지화 방안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단체급식 위탁사업을 위한 법인설립도 6월말로 예정돼 있다.

한화그룹은 이와 같은 한화차이나의 현지 토착화 경영을 통해 신규사업도 적극 개발함으로써 오는 2020년에는 중국 현지 매출 10조 달성을 목표로 해 중국에서 제2의 창업을 이룬다는 전략이다.

김승연 회장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앞으로의 10년이 한화의 글로벌 선진화를 이룩할 중차대한 시기가 될 것”이라며 “국내외 주요 사업부문이 해외시장에서 확고한 경쟁력과 글로벌 위상을 갖출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최근 그룹의 사업이 활발한 중국 지역 사업장에서는 더 큰 관심과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며 중국 지역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