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5/11/20110511000478_0.jpg)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2018년·2022년 월드컵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국제축구연맹(FIFA)의 일부 집행위원들이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AP통신은 11일 아프리카연맹(CAF) 소속 하야투(카메룬) 부회장과 자크 아누마(코트디부아르) FIFA 집행위원이 2022년 월드컵개최지 선정 투표 때 카타르를 지지하는 조건으로 각각 150만달러(약 16억원)를 받은 혐의가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의혹은 영국 선데이 타임스가 입수한 증거를 영국 하원에서 열린 미디어-스포츠 위원회에 출석한 데미안 콜린스 의원이 제출하며 불거졌다.
그러나 카타르축구협회 측은 "근거 없는 이야기"라며 "월드컵 유치에 실패한 쪽에서 퍼뜨리는 입증되지 않은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잉글랜드는 2018년 월드컵 유치를 신청했다가 러시아에 밀려 실패했고, 언론문화체육위원회는 그 과정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5월까지 잉글랜드 축구협회장과 2018년 월드컵 유치위원장을 지낸 데이비드 트라이스먼은 FIFA 집행위원인 잭 워너(트리니다드 토바고), 니콜라스 레오스(파라과이), 워라위 마쿠디(태국), 히카르두 테셰이라(브라질)의 비위 내용도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상원 의원이기도 한 트라이스먼은 "워너 위원의 경우 잉글랜드를 지지해 주는 조건으로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교육센터를 지어 줄 것과 250만파운드를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워너 위원은 "내 투표권을 돈과 바꾸자는 제의를 그 누구에게도 한 적이 없다"라면서 강하게 반박했다. 월드컵 유치전 당시 카타르를 도왔던 영국 출신 컨설턴트 마이크 리는 "내가 그들과 일할 당시 어떠한 정황도 포착되지 않았다. 선데이타임스 주장에는 증거도 불충분해 보인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그 외에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파라과이 FIFA 집행위원들의 비위 혐의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지만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은 이러한 보도에 대해 "명백한 증거가 있다면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히며 "이런 주장에 대한 증거를 요청할 계획이며 이를 FIFA 윤리위원회에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