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국내최대 기업정보포털인 대한상의 코참비즈(www.korchambiz.net)를 분석해 발표한 ‘한국 중소기업의 진로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소제조업의 평균수명이 지난 2004년 9.6년에서 2009년 12.3년으로 5년 새 2.7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27.5년에서 29.1년으로 1.6년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2009년 사이 중소제조업의 평균수명이 11.6년에서 12.3년으로 늘어난 것이 주목된다”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생존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또 보고서는 중소기업청 통계를 인용해 ‘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로 이어지는 기업 성장단계별 특징에서도 ‘성장기’에 있는 중소제조업 비중이 2006년 46.8%에서 2009년 48.4%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반대로 ‘쇠퇴기’에 접어든 기업 비중은 2006년 11.7%에서 2009년 5.9%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이 같은 국내 중소기업의 생존역량 강화에도 불구하고 수익률, 생산성, 기술수준은 여전히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은 결국 시장개방에 따른 무한경쟁 속에서 국내시장이 해외제품들에 의해 잠식되거나 해외시장 진출이 위축되는 양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국내 공공조달시장에서 저가의 중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0.06%, 2009년 0.6%, 2010년 4.2%로 급격히 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소기업 수출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1년 42.9%에서 2009년 32.2%로 10년 새 10%포인트 가량 줄었다.
상의는 “중소기업이 생산, 고용, 수출 등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경제가 잘되려면 중소기업이 우선 잘돼야 한다”면서 “이제는 단순히 기업활동 영위를 위한 경영에서 벗어나 장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장수기업 모델’을 내놓으면서 기본역량으로 품질제고와 원가절감, 납기준수, 시장대응, 기술개발을 제시했다.
개별기업 경쟁에서 시스템 경쟁으로 변화되는 상황에서 품질경쟁력 제고는 필수적이며, 공정개선이나 생산성향상을 통해 경쟁업체보다 제품원가를 낮추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고객 신뢰확보를 위한 납기준수와 시장환경에 신속히 대응하는 태도, 핵심기술 개발 노력이 장수기업을 위한 기초체력을 다지는 일이라고 보고서는 전하고 있다.
이에 더해 중소기업이 장수기업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내수시장을 벗어나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하는 이른바 ‘글로벌화 추진’과 미래의 먹거리인 ‘신성장사업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끝으로 보고서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치밀한 기업승계계획 수립과 경영후계자 양성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