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병원 설립, 인천경제청-시민단체 찬반 첨예 대립

(아주경제 박은영 기자)인천 송도국제병원 설립을 놓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시민단체간의 찬반 대립이 거세다.

시민단체는 서명운동을 비롯해 반대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는 반면 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병원 재무적 투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끝내고 확고한 추진의사를 밝히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연대한 ‘의료민영화 저지 및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인천지역본부’는 인천시민 2012명의 서명운동을 진행하는 한편 다음달 국회에서 다뤄질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통과를 저지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 통과는 경제청이 추진하고 있는 외국의료기관 설립과 운영의 필수적인 조건이다.

이들 단체는 “송도에 들어서는 국내 첫 영리병원은 공공 건강보험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사보험 시장을 확대하는 등 의료비 폭등을 불러오는 의료재앙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질책했다.

보건의료노조 인천본부도 송도국제병원 등 영리 병원에 반대하는 수위를 높이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인천본부(보건노조)는 11일 전국 보건의료노조와 함께 보건복지부 앞에서 개최한 집회를 시작으로 영리 병원 반대운동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보건노조는 우선 송도국제병원이 의료민영화, 또는 의료비 증가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조사를 거쳐 오는 27일 토론회를 갖는 등 지역 내 영리병원 반대 여론를 재점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23일부터 다음달 중순까지 전국 보건노조 순회단과 병원 등을 순회하면서 병원인력 확충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캠페인도 펼치기로 했다.

이에 반해 송도국제병원 설립을 추진해온 경제청은 한 발도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제청은 외국인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송도국제병원은 필수시설이라며 설립 추진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밝히고 있다.

경제청 관계자는 “잠재적 투자자들도 국제병원 설립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공항과 항만을 갖춘 인천의 입지적 특성을 잘 활용하면 성공적인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당초 150병상 규모의 외국인 전용 소규모 병원 구상을 수정, 국제병원이 외국의료법인 뿐만 아니라 국내의료법인도 합작회사를 통해 영리병원 설립을 허용함에 따라 반대 목소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