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수도권 임대사업자는 2006년 2만287명, 2007년 2만471명, 2008년 2만1816명, 2009년 2만2038명, 2010년 2만2289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임대호수는 2007년 14만3905호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08년 12만2048호, 2009년 11만7317호, 2010년 11만5276호로 감소해 1인당 주택임대 호수가 2007년 7.03호에서 2010년 5.17호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2010년 기준으로 서울 임대사업자가 1만1125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 9981명, 인천 1183명 순이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서울은 증가했으나 경기, 인천은 사업자가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이 특정지역에 수요가 집중되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임대사업 역시 경기・인천보다 서울이 선호되는 분위기다.
반면 총 임대호수를 사업자 수로 나눈 1인당 임대호수는 인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천은 임대사업자 1183명에 임대주택 1만1761호로 1인당 임대호수가 9.94호에 달했다. 1인당 임대가 4.61호로 가장 낮은 서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주택 1호당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천지역에 대규모 임대사업자가 많기 때문이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최근 1~2년 사이 매매보다 임차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임대사업 전망이 개선됐다”며 “정부 역시 매입임대에 대한 규제완화, 세제지원 정책을 발표・시행하고 있어 앞으로도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