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시와 각 구청 등에 따르면 여의도전략정비구역은 "40%에 달하는 기부채납비율이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주민들의 반대로 공람조차 못하고 있다.
영등포구청 도시계획담당자는 "서울시가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만나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지난 1월과 2월에 설명회를 열었고, 그 다음 단계가 주민공람인데 반발이 심해 지금까지 수개월째 공람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초 계획보다 3분의 1로 축소된 합정지구도 '원안 개발 사수'를 주장하는 지역주민의 반발로 지지부진하기는 마찬가지다.
남산 르네상스 사업도 지역주민과 해당 구청의 반발로 갈등만 심화되고 있다. 주민들은 생활체육시설이나 380여년의 역사를 가진 전통활터인 석호정 철거를 반대하며 서울시에 맞서고 있다.
중구청도 석호정과 테니스·야구장의 철거는 안된다며 시가 강제로 철거할 경우 헌법소원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주민들과 구청은 "석호정이나 체육시설 이전이 남산의 생태·역사성의 회복과 시민과의 소통을 위한다는 본래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며 "또 이용할 시설이 없는 공원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대형 프로젝트가 해당 지역주민의 지자체의 반발로 갈등만 심화되면서 사전 충분한 의견 수렴없이 개발계획을 발표한 서울시에 비난의 화살을 돌리고 있다.
한 개발정책 전문가는 "한강·남산르네상스 사업도 결국 경기부양을 위한 토목공사일뿐"이라며 "사실상 그대로 둬도 아무 문제 없는 지역을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