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경기도가 공동 추진하는 말라리아 남북공동 방역사업은 지방자치단체 간 최초의 남북협력사업이라는 의의를 갖고 있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의 70%가 북한발 말라리아 매개 모기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말라리아 위험 지역에 인접한 인천시와 경기도가 동시 참여함으로써 방역 사업의 효과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수는 2008년까지 감소하다가 2009년부터 다시 증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날 공동수송식에는 송영길 인천시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상임공동대표 영담스님, 인명진 목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말라리아 발생 시즌이 5월말-6월초부터임을 감안,1차로 유충구제제, 모기향 등 2종의 방역물자를 개성육로를 통해 황해남.북도와 개성지역에 지원한다.
또한 6월말에는 2차분 방역물자로 신속 진단키트, 살충처리모기장, 임산부용 말라리아 예방약 등 3종의 물자를 북한에 전달할 계획이며, 향후 사업의 효과성 제고와 원활한 피드백을 위해 남북간의 정례적인 평가와 말라리아 전문가 공동연구도 고려하고 있다.
인천시는 경기도와 협력사업 추진을 계기로 말라리아 방역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접경지역인 강원도의 참여를 희망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지자체간 협력사업을 통하여 대북 지원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남북평화와 교류협력의 전진기지 인천' 비전 실천을 위해 취약계층 인도적 지원사업을 지속.확대하고 주민 보건의료증진을 위한 말라리아 사업을 비롯한 남북협력사업을 발굴.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