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업체는 위생용품, 제련, 포장, 부동산 등으로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업종이지만 국제판 테마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은 외국회사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거나 지주회사로 있어 해외기업과 해외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의 거래가 이뤄지는 국제판 출시의 수혜주로 여겨진 것.
중국증권감독위원회 판공청 왕젠쥔(王建軍) 부주임이 17일 상하이에서 국제판 출범을 위한 준비가 거의 이뤄졌다고 밝힌 후 이들에 대해 뜨거운 관심이 쏟아졌다.
왕 부주임은 “국제판의 상장 규범 초안과 기술적 준비, 감독관리 등 관련 준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출범을 위한 조건을 곧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상하이거래소의 목표가 세계 일류의 증권거래소인 만큼 국제판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이 A주 상장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시기 등이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이런 발언을 흘려 시장에 투기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며 못마땅하다는 반응이다.
팡정증권 베이징 사무소의 샤칭원(夏慶文) 수석 애널리스트는 정취안르바오(證券日報)와의 인터뷰에서 “관리층이 조건이 곧 성숙할 것이라고 했을 뿐 이미 성숙한 게 아니다”며 국제판 테마주 단기 매매에 우려를 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