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의 경제전망 수정은 대내외 주요 기관들과 대체로 유사한 컨센서스를 이루고 있다. IMF(국제통화기금)는 지난 4월 수정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경제성장률이 4.5%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역시 KDI와 유사한 4.3% 성장률을 전망했다. ADB(아시아개발은행, 4.6%)도 크게 다르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국내 경제전망 기관 역시도 GDP(국내총생산) 성장률과 물가 증가율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GDP 증가율을 4.5%로 내다보고 있다. 소비자물가(3.9%) 상승률과의 차이가 0.6%포인트밖에 나지 않는다. 삼성경제연구소(SERI)는 이보다 폭이 더 적다. 성장률 (4.3%)이 물가상승률(4.1%)과 거의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DI(0.1%포인트)는 말할 나위도 없다.
유독 정부만 올해 성장률을 5.0%로 유지하고 있고, 소비자물가는 3.0%를 전망하고 있다. 양 지표간의 차이는 2.0%포인트로 여타 대내외 기관과 차이가 크다. 조만간 발표할 하반기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하지만, 문제는 성장률을 그대로 두고 갈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 대외기관의 경우 자체적인 데이타를 취합할 여력이 많지 않은 만큼 한국 정부가 내놓는 통계치를 근거로 경제전망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게 경제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더라도 올해 한국 정부의 성장률 전망은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인플레를 자극할 정도라는 데 무게감이 실린다.
물론 정부의 성장전망에는 이른바 '의지'가 담겨있기는 하다. 자연스러운 성장률과는 별개로 정부가 정책목표를 가지고 경기부양을 하고자 하는 바램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신석하 KDI 거시·금융연구부 연구위원은 "재정정책은 거시경제여건이 정상화됐음을 고려할 때 재정건전성 제고에 중점을 둔 정책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KDI는 특히 내년으로 예정된 총선과 대선 등 정치적인 요인에 의해 '재정준칙'의 원칙이 훼손될 우려를 경고하고 나섰다. 내년 예산안에도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 증가율보다 2~3%포인트 낮게 설정하도록 한 재정규율 집행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경제전망 수정여부는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면서 "1분기 GDP 통계가 나온 만큼 이를 토대로 물가와 GDP 전망치 조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