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에는 유성기업 파업사태로 불거진 ‘주간연속 2교대 근무제’를 비롯해 복수노조 관련노조법 재개정, 최저임금 상향,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등 다양한 노사현안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경제단체들은 세계 경제 회복세와 맞물려 국내 기업들의 실적 호조세가 ‘노조의 발목잡기’로 한풀 꺾일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5일 관련업계 및 노동단체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금속노조는 올해 중요 노사현안으로 주간연속 2교대 근무제(밤 12시 이후에는 일을 하지 않는 근무형태)를 지목하고, 현대·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에게 관철시킬 방침이다.
30년 넘게 시행된 ‘24시간 주야간 맞교대’ 근무제를 주간연속 2교대로 바꿀 경우 근로시간이 줄어들 전망이다. 하지만 노조는 임금 삭감이 없는 주간연속 2교대 근무제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줄어드는 근로시간만큼 임금에도 변동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24일 공권력 투입으로 일단락 된 유성기업 파업사태도 이같은 노사간 입장차이가 직접적 원인이다. 문제는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이 유성기업과 같은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업계는 최저임금 상향,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굵직한 이슈가 기다리고 있어 노사 양측의 긴장감이 팽팽하다.
완성차업체 관계자는 “유성기업 파업으로 현대·기아차가 협력사까지 포함된 현대·기아차의 피해 규모 2조300억원 추정된다”며 “올해는 노동현안이 많아 노조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자동차업계 발(發) ‘노조리스크’는 오는 7월 시행되는 복수노조제도와 맞물려 산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노조가 없는 삼성·포스코·LG전자·CJ 등을 복수노조 설립 1차 타깃으로 삼고 있는 만큼 이들 기업은 대책 마련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은 고용노동부 국장급 출신고위 공무원 영입, 복수노조 관련 매뉴얼 등을 대책으로 내놓고 있다.포스코는 뚜렷한 대책을 세우지는 않았지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경제단체들은 이같은 노사불안이 국내 기업들의 상승세를 꺾을 수 있다는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경총은 “불법 분규의 방치로 복수노조 허용과 맞물려 노동계의 강경 투쟁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노사관계 및 정국불안이 가중되고 있어 국가 경쟁력 손실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